라벨이 시스템인 게시물 표시

정확하고 빠른 시스템은 사명이다.

2009년 어느날이었습니다. 소방서 상황실에 한통의 신고전화가 걸려왔습니다. 다급한 목소리로 아이의 목에 사탕이 걸렸다는 상황이었습니다. 바로 구급차가 출동하여 아이를 병원으로 이송하였습니다. 하지만 아이는 사경을 헤메다 끝내 사망하였습니다. 그 아이는 제아들과 같은 나이였습니다. 어떻게 하면 이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까? 최초 상황부터 병원이송까지 추적해보았습니다. 최초 신고자가 핸드폰으로 119에 신고를 하였습니다. 핸드폰은 기지국 위치로 가까운 소방서로 연결이 됩니다. 이때 신고자는 ㅇㅇ소방서 관내에 있었는데 기지국은 ㅁㅁ소방서에 위치하고 있었습니다. ㅁㅁ소방서에서는 위치를 파악하여 ㅇㅇ소방서로 관련내용을 바로 이첩하였습니다. 최초 119 콜이 ㅁㅁ소방서에 연결된 시간은 12초 그 후 위치 및 내용파악을 위한 통화는 30초 ㅇㅇ소방서로 이첩시간 2초 다시 ㅇㅇㅇ소방서에서 위치 및 내용파악을 위한 통화 30초 출동시간 약 8분 사람은 기도가 막히고 5분 정도 지나면 뇌사가 된다고 합니다. 기도가 막힌 상황을 인지하고 전화하여 구급차가 출동하여 환자의 목에 구멍을 뚫어 기도삽관을 하면 살수 있습니다. 이 시간까지 5분 이내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관련시간을 줄이기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해보았습니다. 신고자의 위치정보를 보다 정확히 나타내어 준다면 또한 자동으로 관할 소방서를 지정해 줄 수 있다면 최초 119콜이 지연시간 12초 없이 바로 연결된다면 지금도 그때의 일을 생각하면 가슴이 아픕니다. 보다 정확하고 빠른 시스템이었다면 한 생명을 살릴수 있었을텐데....., 제가 소방관 생활을 그만둔지 오랜 세월이 흘렀지만 보다 정확하고 빠른 시스템 구축은  어느덧 저의 사명이 되어 버렸습니다. 오늘도 그날의 아픔이 가슴을 찌릅니다.

시스템은 최종 사용자를 바라봐야 한다

시스템은 최종 사용자 즉 end user를 바라봐야 한다. 이것은 불변의 진리이다. 최종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시스템이 좋은 시스템이다. 중간에 어떤 장비가 있던간에 최종 사용자가 클릭 했을 때 바로 보여주는 시스템이야말로 좋은 시스템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시스템은 그렇지 못하다. 나 또한 그런식으로 핑계를 댄 적이 많았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그 때 다른 방법을 찾아 시도 했으면 해결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예를 들어 홈페이지에서 최종 사용자는 접속이 되지 않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웹서버를 몇십대로 증설해야 하며 비용 또한 만만치 않다는 논리를 펼친다. 현재 기술을 잘 살펴보면 공개 웹서버인 엔진엑스를 사용하면 백만세션까지 한대로 처리 할 수 있다고 한다. 길을 찾으면 방법은 있지만 습관처럼 예전 기술로 판단하고 자기방어논리만 펼치는게 현실인가보다. 구글이나 페이스북의 성공엔 end user만을 생각하는 엔지니어들이 있다. 끊임없이 변화시키는 기술은 새로운 방법을 만들어 내고 이는 세상을 변화 시킵니다.

M2M(Machine to Machine) 이란?

앞으로  M2M 시대가 온다. 기기간 연결되는 시대인데 현재 각종 센서와 서버의 연결이 그 시초라 할 수 있다. 국내에선 사물지능통신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용어가 잘못 된 거 같다. 이전에도 이런 류의 연결은 있었다. 단지 활용이 적었을 뿐이지. 스마트폰이 활성화 되면서 유비쿼터스 세상이 좀 더 우리에게 한 발짝 다가왔다. 기존에 사람과 기기간 통신에서 기기간 통신으로 상황을 판단하여 좀 더 편리한 정보를 사람에게 제공해주는 체계라 할 수 있다. 모든 기술은 사람을 향하니까. 하지만 좀 더 발전하다 보면 시스템의 중심은 기계가 될 것이고 서비스의 중심이 사람이 될 것이다. 이의 미묘한 차이는 갈등을 불러올 것이고 거기에 결정권을 시스템이 갖게 되면 기계가 지배하는 세상이 열릴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