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9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도전기
중학교 때부터 였을까...,
역사에 대한 관심이 많았었다.
방황하던 시절에도 역사의 점수는 높게 유지했었다.
한국사는 공무원시험 준비할때 빛을 발했다.
유난히 한국사에 대한 열정이 높았던
나는 공무원 합격도 아마도 한국사가 기여했을 것이다.
어느덧 불혹의 나이가 되어
이제는 아이들의 책에서 볼 수 있었던 역사를
애들과 같이 한국사 자격증에 도전해보기로 하였다.
2011년 어느날 이었을까?
나름 열심히 했지만 낙방을 하였다.
53점으로 60점이면 2급인데....,
시험은 공무원과 다르게 유물문제가 많이 나왔다.
단답형으로 암기위주의 시험만 치렀던 게 원인이었던거 같다.
그리하여 식어가는 열정을 다시 살리기 위해
2013년 제19회 한국사 능력검정에 다시 도전하게 되었다.
일단 이 시험은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나뉜다.
초급은 40문제로 60점 이상이면 6급 70점 이상이면 5급이 되며
중급은 50문제로 60점 이상이면 4급 70점 이상이면 3급이 되며
고급은 50문제로 60점 이상이면 2급 70점 이상이면 1급이 된다.
시험의 주관은 국사편찬위원회로 국가단체에서 운영하고 있다.
1년에 약 4회 정도의 시험을 운영한다.
여기에 19회를 응시하였는데 접수는 4.2 ~ 4.23 에 하였고
시험은 5.11에 하였으며 발표는 5.28 예정이다.
고급에 응시를 하였는데 이는 전적으로 내 욕심이었다.
아니면 과욕이었을지도 모른다.
국사편찬위원회의 각 등급별 평가내용은 다음과 같다.
고급 : 한국사 심화가정으로 차원높은 역사 지식, 통합적 이해력 및 분석력을
바탕으로 시대의 구조를 파악하고, 현재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 평가
중급 : 한국사 기초 심화과정으로 한국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사의 흐름을 대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과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사의 개념과 전개과정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능력평가
초급 : 한국사 입문과정으로 한국사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기초적인 역사상식을 평가
교재를 검색해보니 교육방송이 좋다고 하여 구입을 하였는데
기본서를 구매한다는게 그만 문제집을 구입하였다.
이후 기본서를 다시 구매하여 총 10여만원의 비용이 들었다.
기존에 가지고 있던 한영우 "우리역사"를 기본으로 다시 보았다.
상황실 근무하면서 책을 보기가 어려웠다.
야간근무 시간에 짬을 내서 보고 비번날은 도서관에 가서 보았다.
문제는 눈이 아파서 책을 보기가 어려웠다.
상황실의 구조가 자연광이 없어서 그런거 같았다.
결국 새로 구입한 교육방송 교재는 전부 보지도 못하고
우리역사만 한번 더보고 시험을 보러 갔다.
시험은 돌마고등학교에서 보았다.
아침 일찍 출발해서 교실에서 책을 한번 더 보자는 심정으로
갔으나 역시나 더 보기는 힘들었다.
책을 보면 눈이 자꾸 아팠다.
결국 학교에서 주변 풍경을 보며 쉬었다.
떨어지면 말지 하는 심정으로 편안한 마음을 가졌다.
아는 문제는 풀고 모르는 문제는 체크하였다가
최대한 고민한 다음에 직관에 맡기기로 하니
마음이 편안해졌다.
이윽고 시험이 시작되었다.
30명이 응시하는 교실은 응시생의 열기로
금세 뜨거워졌다.
연령층은 대부분 젊은 사람과 내또래였다.
주로 20대가 십여명, 30대가 십여명, 40대가 두세명 정도
문제는 대체로 쉬웠다.
하긴 이전에도 쉽게 보고 쿨하게 떨어졌다.
아는 문제는 풀고
모르는 문제는 체크하고 넘어갔다.
11:10가 되니 50번까지 다 풀었다.
이제 체크된 문제를 보니 약 14문제 정도 였다.
시간이 남으니 확신되는 문제의 정답을 답안지에 적었다.
그리고 체크된 문제를 고민하기 시작하였다.
문제마다 1~3점짜리가 있다.
높은 배점은 문제에 함정이 있으니라 생각하고 찍었다.
문제를 다 푼 사람은 나갈 수 있다고 하여 5분정도 시간이 남았는데도 불구하고
답안지를 제출하고 나왔다.
한국사 시험은 문제지는 가져갈 수 있도록 한다.
5.12에 정답이 발표되었다.
가채점 해보니 74점으로 1급 합격할 꺼 같다.
역사에 대한 관심이 많았었다.
방황하던 시절에도 역사의 점수는 높게 유지했었다.
한국사는 공무원시험 준비할때 빛을 발했다.
유난히 한국사에 대한 열정이 높았던
나는 공무원 합격도 아마도 한국사가 기여했을 것이다.
어느덧 불혹의 나이가 되어
이제는 아이들의 책에서 볼 수 있었던 역사를
애들과 같이 한국사 자격증에 도전해보기로 하였다.
2011년 어느날 이었을까?
나름 열심히 했지만 낙방을 하였다.
53점으로 60점이면 2급인데....,
시험은 공무원과 다르게 유물문제가 많이 나왔다.
단답형으로 암기위주의 시험만 치렀던 게 원인이었던거 같다.
그리하여 식어가는 열정을 다시 살리기 위해
2013년 제19회 한국사 능력검정에 다시 도전하게 되었다.
일단 이 시험은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나뉜다.
초급은 40문제로 60점 이상이면 6급 70점 이상이면 5급이 되며
중급은 50문제로 60점 이상이면 4급 70점 이상이면 3급이 되며
고급은 50문제로 60점 이상이면 2급 70점 이상이면 1급이 된다.
시험의 주관은 국사편찬위원회로 국가단체에서 운영하고 있다.
1년에 약 4회 정도의 시험을 운영한다.
여기에 19회를 응시하였는데 접수는 4.2 ~ 4.23 에 하였고
시험은 5.11에 하였으며 발표는 5.28 예정이다.
고급에 응시를 하였는데 이는 전적으로 내 욕심이었다.
아니면 과욕이었을지도 모른다.
국사편찬위원회의 각 등급별 평가내용은 다음과 같다.
고급 : 한국사 심화가정으로 차원높은 역사 지식, 통합적 이해력 및 분석력을
바탕으로 시대의 구조를 파악하고, 현재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 평가
중급 : 한국사 기초 심화과정으로 한국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사의 흐름을 대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과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사의 개념과 전개과정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능력평가
초급 : 한국사 입문과정으로 한국사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기초적인 역사상식을 평가
교재를 검색해보니 교육방송이 좋다고 하여 구입을 하였는데
기본서를 구매한다는게 그만 문제집을 구입하였다.
이후 기본서를 다시 구매하여 총 10여만원의 비용이 들었다.
기존에 가지고 있던 한영우 "우리역사"를 기본으로 다시 보았다.
상황실 근무하면서 책을 보기가 어려웠다.
야간근무 시간에 짬을 내서 보고 비번날은 도서관에 가서 보았다.
문제는 눈이 아파서 책을 보기가 어려웠다.
상황실의 구조가 자연광이 없어서 그런거 같았다.
결국 새로 구입한 교육방송 교재는 전부 보지도 못하고
우리역사만 한번 더보고 시험을 보러 갔다.
시험은 돌마고등학교에서 보았다.
아침 일찍 출발해서 교실에서 책을 한번 더 보자는 심정으로
갔으나 역시나 더 보기는 힘들었다.
책을 보면 눈이 자꾸 아팠다.
결국 학교에서 주변 풍경을 보며 쉬었다.
떨어지면 말지 하는 심정으로 편안한 마음을 가졌다.
아는 문제는 풀고 모르는 문제는 체크하였다가
최대한 고민한 다음에 직관에 맡기기로 하니
마음이 편안해졌다.
이윽고 시험이 시작되었다.
30명이 응시하는 교실은 응시생의 열기로
금세 뜨거워졌다.
연령층은 대부분 젊은 사람과 내또래였다.
주로 20대가 십여명, 30대가 십여명, 40대가 두세명 정도
문제는 대체로 쉬웠다.
하긴 이전에도 쉽게 보고 쿨하게 떨어졌다.
아는 문제는 풀고
모르는 문제는 체크하고 넘어갔다.
11:10가 되니 50번까지 다 풀었다.
이제 체크된 문제를 보니 약 14문제 정도 였다.
시간이 남으니 확신되는 문제의 정답을 답안지에 적었다.
그리고 체크된 문제를 고민하기 시작하였다.
문제마다 1~3점짜리가 있다.
높은 배점은 문제에 함정이 있으니라 생각하고 찍었다.
문제를 다 푼 사람은 나갈 수 있다고 하여 5분정도 시간이 남았는데도 불구하고
답안지를 제출하고 나왔다.
한국사 시험은 문제지는 가져갈 수 있도록 한다.
5.12에 정답이 발표되었다.
가채점 해보니 74점으로 1급 합격할 꺼 같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