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 운영에서 중요한 점
데이터 센터 운영에서 중요한 점은 무얼까?
주로 대부분 대형 데이터 센터는 미국에 있다.
야후, 구글, 페이스북, 애플 등....,
이들이 말하는 가장 중요한 점은 에너지 소비이다.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소비 중 1위는 무엇일까?
대부분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가 사용하는 전기료라고 할 것이다.
나도 그랬으니까....
하지만 답은 그게 아니다.
답은 쿨링이다.
데이터 센터에서 쿨링에 사용되는 에너지는 약 60% 달한다.
서버 및 네트워크 장비에 사용되는 에너지는 약 30% 란다.
기타가 10% 이겠지만....,
쿨링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데...
일단 항온항습기에서 차가운 바람이 나와서 센터 내부를 식힌다.
각 랙의 천장에 모터는 차가운 바람은 아래로 이동시킨다.
랙의 후면과 상단에서 차가운 바람이 기계를 통과하여 데워진 후 랙의 앞면과 하단으로 내려온다.
이때 공기의 흐름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통로에 차가운 바람을 공급하고 그 좌우에 랙을 설치하는 방식과
벽면에서 차가운 바람을 공급하고 그 앞면에 랙을 설치하는 방식 등
중요한 점은 차가운 바람이 공급되는 쪽에 랙의 후면이 설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데이터 센터가 이런 측면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데워진 공기의 처리인데 이것은 어떻게 할 것인가?
그냥 계속 같은 공간에서 떠돌게 할 것인지 아니면 빼 낼것인지....
빼내야 한다.
공기의 흐름은 외부에서 필터를 통해 항온항습기를 거쳐 차가운 바람으로 변해 공급되어야 하고 데워진 바람은 다시 외부로 빼내고 필터를 통해 다시 항온항습기로 유입되는 형식으로 순환공급이 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리고 에너지 소비에 가장 중요한 습도는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
생명체는 보통 50 ~60%가 가장 쾌적하다고 느낀다고 한다.
하지만 데이터 센터는 생명체 보단 기계의 환경에 맞춰야 한다.
기계는 습도에 어느정도 민감한지가 중요하다.
너무 건조하면 정전기에 의한 기기 손상이 우려될 수 있으며
너무 습하면 부식에 우려가 있다.
습도도 50% 정도가 적당하겠다.
경험에 의하면.....,
주로 대부분 대형 데이터 센터는 미국에 있다.
야후, 구글, 페이스북, 애플 등....,
이들이 말하는 가장 중요한 점은 에너지 소비이다.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소비 중 1위는 무엇일까?
대부분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가 사용하는 전기료라고 할 것이다.
나도 그랬으니까....
하지만 답은 그게 아니다.
답은 쿨링이다.
데이터 센터에서 쿨링에 사용되는 에너지는 약 60% 달한다.
서버 및 네트워크 장비에 사용되는 에너지는 약 30% 란다.
기타가 10% 이겠지만....,
쿨링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데...
일단 항온항습기에서 차가운 바람이 나와서 센터 내부를 식힌다.
각 랙의 천장에 모터는 차가운 바람은 아래로 이동시킨다.
랙의 후면과 상단에서 차가운 바람이 기계를 통과하여 데워진 후 랙의 앞면과 하단으로 내려온다.
이때 공기의 흐름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통로에 차가운 바람을 공급하고 그 좌우에 랙을 설치하는 방식과
벽면에서 차가운 바람을 공급하고 그 앞면에 랙을 설치하는 방식 등
중요한 점은 차가운 바람이 공급되는 쪽에 랙의 후면이 설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데이터 센터가 이런 측면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데워진 공기의 처리인데 이것은 어떻게 할 것인가?
그냥 계속 같은 공간에서 떠돌게 할 것인지 아니면 빼 낼것인지....
빼내야 한다.
공기의 흐름은 외부에서 필터를 통해 항온항습기를 거쳐 차가운 바람으로 변해 공급되어야 하고 데워진 바람은 다시 외부로 빼내고 필터를 통해 다시 항온항습기로 유입되는 형식으로 순환공급이 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리고 에너지 소비에 가장 중요한 습도는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
생명체는 보통 50 ~60%가 가장 쾌적하다고 느낀다고 한다.
하지만 데이터 센터는 생명체 보단 기계의 환경에 맞춰야 한다.
기계는 습도에 어느정도 민감한지가 중요하다.
너무 건조하면 정전기에 의한 기기 손상이 우려될 수 있으며
너무 습하면 부식에 우려가 있다.
습도도 50% 정도가 적당하겠다.
경험에 의하면.....,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