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오년(丙午年) - 불의 기운이 강렬한 해, 그 특징과 의미

  병오년이란? 병오년(丙午年)은 60갑자 중 43번째에 해당하는 해로, 천간 병(丙)과 지지 오(午)가 만나 이루어집니다. 가장 최근에는 1966년과 2026년이 병오년에 해당하죠. 병오의 오행 분석 천간 병(丙) - 양의 불(陽火)  병은 태양의 불, 즉 밝고 따뜻한 양의 기운을 상징합니다. 활동적이고 외향적이며, 남을 이끄는 리더십을 지닌 특성을 나타냅니다. 지지 오(午) - 음의 불(陰火)  오는 말띠에 해당하며, 한여름의 뜨거운 기운을 담고 있습니다. 열정적이고 역동적인 에너지를 상징하죠. 병오의 특별함 - 불과 불의 만남  병오는 천간과 지지 모두 불의 기운으로 이루어진 매우 특별한 조합입니다. 이를 '불이 불을 만난다'고 표현하며, 극도로 강한 화기(火氣)를 나타냅니다. 병오년생의 성격 특징 장점 강력한 추진력 : 목표가 생기면 불같은 열정으로 밀고 나가는 추진력 리더십 : 자연스럽게 사람들을 이끄는 카리스마와 지도력 정의감 : 옳지 못한 일에 대해 과감하게 나서는 용기 창의성 : 새로운 아이디어와 혁신적 사고를 잘하는 편 주의사항 성급함 : 불의 기운이 강해 성격이 급하고 참을성이 부족할 수 있음 감정 기복 : 열정적인 만큼 감정의 변화가 클 수 있음 과도한 경쟁심 : 이기고자 하는 욕구가 강해 때론 무리할 수 있음 병오년생에게 적합한 분야 추천 직업군 경영자, 정치인, 연예인 영업, 마케팅, 광고 분야 교육자, 언론인 창업가, 사업가 주의할 점  불의 기운이 강하므로 물의 기운(수행, 학문)이나 토의 기운(안정, 저축)을 보완하는 것이 좋습니다. 병오와 다른 간지와의 궁합 좋은 궁합 : 임자(壬子), 계축(癸丑) - 물이 불을 적절히 조절  보통 궁합 : 무인(戊寅), 기묘(己卯) - 흙이 불의 기운을 안정시킴  주의할 궁합 : 경신(庚申), 신유(辛酉) - 금과 불의 상극 관계 2026년 병오년 운세 전망 다가오는 2026년 병오년은 전체적으로 역동적이고 변화가 많을 해가 될 것으로...

구글 플레이 스토어 16KB 메모리 페이지 지원 문제 해결방법

이미지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나오기 시작 했다. Flutter 로 만든 앱인데 검색해보니 라이브러리와 플러터를 업그레이드 하면 된다고 한다. 그렇게 했는데 오늘 업데이트 했더니 같은 오류가 나왔다. 어떤 라이브러리가 안되는지 찾아야 한다. 왼쪽 메뉴에서 - 테스트 및 출시 - 최신버전 및 번들에서 최신버전의 -> 선택한다. 이런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제일 오른쪽 -> 를 선택하여 자세한 화면으로 들어간다. 스크롤을 내려 제일 하단으로 가면 다음과 같이 지원하지 않는 so 파일이 나온다. 이 파일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를 찾아야 한다. Rive 애니메이션에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라는데 나는 로띠 애니메이션을 사용하는데 해당 라이브러리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 명렁어를 사용하면 관련 라이브러리를 하위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를 찾을 수 있다. 이제 찾았다. awesome_dialog 패키지가 문제라는데 나는 이 패키지를 제거하고 기본 다이아로그로 대체하였다.

Flutter 에서 Android Gradle Plugin 오류 조치

이미지
 Flutter 에서 잘 되던게 안되고 다음과 같은 오류가 난다. 그래들 버전이 맞지 않난다고 나온다. 그래들 버전을 맞추면 된다. /android/settings.gradle 에 가면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id "com.android.application" version "7.3.0" apply false 의 버전을 8.2.1 로 변경한다. 이것만 바꾸면 될꺼 같은데 다음과 같은 다른 오류가 난다. 한군데 더 수정할 곳이 있다. /android/gradle/wrapper/gradle-wrapper.properties 를 수정해야 한다. distributionUrl=https\://services.gradle.org/distrubutions/gradle-7.6.3-all.zip 버전을 8.2.1 로 변경하면 된다. 나는 이와 같이 수정하고 다시 빌드 했더니 정상 작동 되었다.

Raspberry pi 에서 flet 실행할 때 libmpv.so.1 파일 없다는 오류 조치

이미지
라즈베리파이에서 Flet 으로 프로그램을 하나 작성하였습니다. 하지만 실행할 때 오류가 납니다. libmpv.so.1 파일이 없다고 나옵니다. 대충 찾아보면 $ sudo apt instll libmpv1 을 하면 된다고 하는데 설치가 안됩니다. $ sudo apt install libmpv2 로 설치하면 됩니다. 대부분 내용이 업데이트 된걸 반영하고 있지 않아요. 설치된 다음에 위치를 찾습니다 $ find /usr/lib /usr/local/lib -name "libmpv.so*" 위치를 찾았으면 이제 심볼릭 링크를 걸어줍니다. $ sudo ln -s /usr/lib/aarch64-linux-gnu/libmpv.so.2 /usr/lib/libmpv.so.1 이제 Flet 을 실행하시면 화면이 나올 것입니다. 이것 때문에 삽질한 기억이 있습니다. 주요 요점은 $ sudo apt install libmpv2 로 설치한 다음 라이브러리를 링크로 걸어줍니다. 

윈도 11 이 사진에 대한 자세한 정보 삭제 방법

이미지
윈도 11에서 바탕화면에 이상한 아이콘이 있다. 이 사진에 대한 자세한 정보 아이콘이다. 아이콘을 없애는 방법이다.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삭제할 수 있다. 윈도 아이콘 - 검색 - 레지스트리 편집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HideDesktopIcons\NewStartPanel 이동한 다음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새로 만들기 합니다. 이름은 {2cc5ca98-6485-489a-920e-b3e88a6ccce3} 변경합니다. 값은 DWORD 16진수 1 로 변경합니다. 저장 후 빠져 나옵니다. 이제 새로 고침을 하면 삭제됩니다.

Llama 3.2 fine tunning 중 cannot find tokenizer merges in model file 오류

라마 3.2 로 파인튜닝 중 오류를 만났어요. 기본 모델을 3.2로 변경하고 gguf 까지 변환이 잘 되었어요. 하지만 올라마에 서비스를 구동할 때 오류가 났어요. 토크나이저를 찾을 수 없다는 등등.... 검색해도 거의 나오지 않고 올라마 깃허브에 가보니 저와 비슷한 오류가 있었어요. 대충 보니 트랜스포머 버전이 4.45 이상으로 가면서 토크나이저 포맷이 변경된거 같아요. 그래서 트랜스포머 버전을 4.44 버전을 사용하면 된다는 거였어요. 일단 해보니 오류가 사라지고 잘되는겁니다. 이후 설치시 확인해보니 언슬롯에서 기본으로 트랜스포머 버전이 4.44 버전으로 되도록 변경하였더군요. 이것때문에 이틀을 왜 안되지. 이전 버전으로 돌아가보고 해볼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다해본거 같아요.

라마 3.1 파인 튜닝 하는 방법

이미지
라마 3.1 을 파인튜닝하여 내부 서버에 서비스 올리기 먼저 라마 3.1을 파인 튜닝 하기 전에 학습할 데이터를 만들어야 한다. 보통은 pdf 같은 파일로 qa 리스트를 만들면 된다. 허깅페이스에 올라온 오픈소스로 pdf -> qa 추출을 했더니 너무 처참했다. 그나마 괜찮은 성능을 보인 것은 chatGPT 이다. 유료지만 api 를 활용하니 비용은 거의 몇백원 정도 되었다. qa 는 jsonl 형식으로 만들어서 허깅페이스 데이터셋에 등록하면 작업하기 편하다. 이제 파인튜닝을 할 준비가 된것이다. 허깅페이스 데이터셋을 가져와서 구글 코랩에서 파인튜닝을 하면 된다. 처음엔 A100 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가장 낮은 GPU  도 가능하다. 학습 횟수를 1천번 정도도 돌렸으나 별차이가 없었다. 뭔가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60회 정도 돌리니 그나마 결과가 나은거 같다. 이미지 학습과 다르게 이건 많이 학습 할수록 잘 안되는 느낌이다. 학습이 완료되면 모델을 허깅페이스에 등록한다. 난 gguf 까지 변환하여 허깅페이스에 등록했다. 이제 gguf 파일을 서버에서 다운받아서 ollama 에 올리면 된다. RTX4070 하나로 돌리는데 속도와 결과는 그럭저럭 쓸만하다. 사용자가 많지 않으니....., 나중에 colab 에 정리된 코드를 가지고 이야기 했으면 한다. 워낙에 많이 바뀌므로 정리가 어렵다.